CERTIFICATION/SQLD (1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SQLD/데이터 모델링의 이해]1-4. 관계 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-4. 관계 (1) 관계 정의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 논리적 연관성 존재하는 형태나 행위로서 서로서로에게 연관성이 부여된 상태 (2) 페어링 엔터티 안에 인스턴스가 개별적으로 관계를 갖는 것 관계 = 페어링의 집합 (3) 관계 분류 ERD : 존재에 의한 관계 / 행위에 의한 관계 → 둘이 구분 없이 단일화된 표기법 사용 UML : 연관 관계 / 의존 관계 → 실선과 점선 표기법으로 구분 (4) 관계 표기법 관계명 관계차수(Cardinality) 선택성(Optionality) (5) 두 엔터티 사이 정의 관계 체크 사항 두 엔터티 사이 연관규칙 존재? 두 엔터티 사이 정보의 조합이 발생?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“동사(Verb)”가 존재? 업무기술서, .. [SQLD/데이터 모델링의 이해]1-3. 속성 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-3. 속성 (1) 속성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한의 단위 엔터티를 설명하고, 인스턴스의 구성 요소가 됨 📌 엔터티 ↔ 속성 ↔ 인스턴스 관계 - 1개의 엔터티 = 2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 (= 엔터티가 가장 큰 단위의 개념) - 1개 인스턴스 = 2개 이상의 속성을 가짐 - 1개 속성 = 1개의 속성값을 가짐 (하나 이상X) (2) 속성 분류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- 기본 속성 : 기본적인 모든 속성 - 설계 속성 : 사용자에 의해 “새로 만들”어지거나 정의되는 속성 - 파생 속성 : 다른 속성의 “영향을 받아” 발생 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- PK : 엔터티 식별 - FK : 다른 엔터티와 관계에서 포함된 속성 - 일반 : .. [SQLD/데이터 모델링의 이해]1-2. 엔터티 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-2. 엔터티(Entity) (1) 엔터티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, “실체, 객체” 인스턴스 = 엔터티 안에 행 데이터 (ex. 환자 엔터티 -> 이춘식, 조시형의 데이터 인스턴스) (2) 엔터티 특징 “업무”에서 꼭 필요로 하는 정보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함 2개 이상의 인스턴스로 구성된 집합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됨 반드시 “속성”을 포함해야 함 다른 엔터티와 “관계”가 최소 1개 이상 존재 (3) 엔터티 분류 (=> DB테이블에 들어가는 데이터 형태) 유형,무형에 따른 : 유형 엔터티 / 개념 엔터티 / 사건 엔터티 발생 시점에 따른 : 기본 엔터티 / 중심 엔터티 / 행위 엔터티 - 기본 엔터티 : 다른 엔터티로 주식별자 상속X 자신 고유 주식별자 가짐.. [SQLD/데이터 모델링의 이해]1-1. 데이터 모델의 이해 1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-1. 데이터 모델의 이해 (01) 모델링 특징 3가지 추상화 :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 단순화 : 제한된 표기법, 언어로 표현해서 쉽게 이해하도록 함 명확화(=정확화) : 누구나 쉽게 이해하도록 애매모호함을 제거해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 (02) 정보시스템 구축에서 모델링 활용 계획/ 분석/ 설계할 때 업무를 분석하고 설계하는데 이용 구축/ 운영 단계에서는 변경과 관리의 목적으로 이용 (03) 모델링의 3가지 관점 데이터 관점 (Data, what) : “업무”와 데이터 // 데이터와 데이터간의 관계 프로세스 관점 (Process, How) : “업무 프로세스”가 실제 하는 일 or 무엇을 해야하는지 상관 관점 (Interaction) : “업무”가 처리하는 일의 “방법”.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