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45 SW / 보안 관련 신기술
매시업(Mashup)
-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,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
서비스 지향 아키텍처(SOA)
-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
- 기업의 IT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음
- SOA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성 계층
- 표현(Presentation) 계층
- 업무 프로세스(Biz-Process) 계층
- 서비스 중간(Service Intermediary) 계층
- 애플리케이션(Application) 계층
- 데이터 저장(Persistency) 계층
시큐어 코딩(Secure Coding)
- 소프트웨어의 구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안 요소들을 고려하며 코딩하는 것
- 보안 취약점(Vulnerability)을 사전에 대응 → 안정성, 신뢰성 확보
- 보안 정책을 바탕으로 시큐어 코딩 가이드 작성 → 개발 참여자에게 시큐어 코딩 교육 실시
서비스형 블록체인(BaaS)
- 블록체인(Bolckchain) 앱의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
-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의 추가 및 제거 용이함
- 플랫폼마다 다른 블록체인 기술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 가능
OWASP(오픈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)
- 웹 정보 노출이나 악성 코드, 스크립트, 보안이 취약한 부분을 연구하는 비영리 단체
- 보안 취약점 중 보안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기준으로 선정한 10대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3~4년에 한번씩 발표
046 HW 관련 신기술
고가용성(HA)
-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시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메커니즘
RAID
-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
- 그 블록들을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거나 쓸 수 있음
- 디스크 속도 향상
앤 스크린(N-Screen)
-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
멤스(MEMS)
- 초정밀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, 액추에이터(Actuator) 등 기계 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장치
047 DB 관련 신기술
빅데이터(Big Data)
-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
- 스마트 단말의 빠른 확산,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, 사물 네트워크 확대 → 데이터 폭발 가속화
하둡(Hadoop)
-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
- 일반 PC급 컴퓨터들로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 형성
- 그 안에 보관된 거대한 데이터 세트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
- 구글, 야후 등에 적용
맵리듀스(MapReduce)
-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
-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연관성 있는 데이터 분류로 묶는 Map 작업 수행 후 중복 데이터 제거 및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Reduce 작업 수행
타조(Tajo)
-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(Apache Hadoop)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
-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개발
048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
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(SDN)
-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들로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
- 네트워크 비용 및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
- 기존 네트워킹 기술의 폐쇄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방형으로 변화시키는 미래 인터넷 기술로 떠오르고 있음
IoT(사물 인터넷)
-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
메시 네트워크
- 차세대 이동통신, 홈네트워킹, 공공 안전 등 특수 목적을 위한 네트워크
- 수십에서 수천 개의 디바이스를 유기적으로 연결 → 모든 구간을 동일한 무선망처럼 구성 → 사용자가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함
클라우드 컴퓨팅
-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
파스-타(PaaS-TA)
-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개방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
SSO(Single Sign On)
- 한 번의 로그인으로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
스마트 그리드
- 전력선을 기반으로 모든 통신, 정보, 관련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 → 효율적 에너지 관리 가능
'CERTIFICATION > IE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-2] 프로그램 구현 (0) | 2024.05.18 |
---|---|
[2-1]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(0) | 2024.05.18 |
[1-3] 테스트 및 배포 (0) | 2024.05.17 |
[1-2] 애플리케이션 설계 (0) | 2024.05.17 |
[1-1]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(0) | 2024.05.16 |